동부 구북구 전역의 두꺼비속(Bufo)의 계통학 및 분류학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동부 구북구에 있는 두꺼비과(Bufo 속)는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 다양성을 알기 어렵고 종의 기원 또한 불확실하며, 분류학적인 경계도 불분명하다. 우리는 아시아 두꺼비과의 역사적 생물 지리를 재구성하고, 동아시아의 B. gargarizans의 사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종 복합체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 gargarizans 복합체의 전 지리적 범위에서 433 개체를 샘플링했다.

Resolution of the diversifications of bufonids in the Holarctic and the Eastern Palearctic.

예측 계통지리학 툴과 다중 유전자좌 단편을 사용한 고급 분류법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긴 분산 거리와 빙하기 레퓨지아의 효과가 결합되어 B. gargarizans 복합체에 있는 깊은 분기(divergence)를 초래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종 구분 모델링 결과, 종 복합체의 최북단 개체군이 독립적으로 진화적 계통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종 분포 모델과 이주 패턴은 황해의 동쪽과 서쪽 개체군의 생태학적 필요 조건에서 차이가 있으며,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B. gargarizans복합체로부터 황해의 동쪽 Bufo 계통군이 분리되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Bufo sachalinensis

B. gargarizans 복합체의 분류학적 경계를 재정비하기 위해 우리는 Bufo sachalinensis이라는 종명을 다시 부활시켰고, 중국에 있는 두 두꺼비 종이 헷갈리지 않도록 동북 두꺼비 (东北蟾蜍; Dōng Běi Chán Chú; 동베찬추) 라는 중국 이름을 부여했다. 또, 우리는 B. sachalinensis만이 한반도와 러시아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 종을 러시아의 B. sachalinensis sachalinensis와 한반도의 남부B. sachalinensis cf. sachalinensis (아직 아종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두 개의 보전 단위로 나누었다. 우리는 이러한 아종을 보전하기 위해 별도의 보전 관리 체계를 만들 것을 권장한다.

이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eLifeScience https://elifesciences.org/articles/70494에서 확인할 수 있다.

Dated phylogeny and biogeography patterns of Bufo in the Eastern Palearctic.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